grub의 복구방법
Linux2008. 1. 16. 06:46
우분투/MS윈도우를 멀티부팅으로 사용하다,
MS윈도우를 포맷하거나, 파티션을 추가/삭제 하는 하는 등의 변화가 생기면
멀티부팅을 관장하는 grub이 오작동 하는 경우가 있다.
오류난, grub의 복구방법을 알아보자.
우분투설치CD로 "첫번째 항목"으로 부팅한다.
부팅이 완료되면,,
"어플리케이션 -> 악세사리 -> 터미널" 을 실행한다.
① sudo -i 엔타
② grub 엔타친 후 1~2분 기다리면,,
grub> 상태가 된다.
③ find /boot/grub/stage1 엔타 (find 뒤에 한칸 띄고 쓴다.)
④ root (hd0,0)
(hd0,0) -> 리눅스 설치된 파티션이 첫번째 HDD(0)의 첫번째 첫번째 파티션(0)
(dh1,0) -> 리눅스 설치된 파티션이 두번째 HDD(1)의 첫번째 첫번째 파티션(0)
(dh2,0) -> 리눅스 설치된 파티션이 세번째 HDD(2)의 첫번째 첫번째 파티션(0)
(dh1,0) -> 리눅스 설치된 파티션이 두번째 HDD(1)의 첫번째 첫번째 파티션(0)
(dh2,0) -> 리눅스 설치된 파티션이 세번째 HDD(2)의 첫번째 첫번째 파티션(0)
-
HDD : 하드디스크(하드웨어)
-
파티션 : HDD를 소프트웨어적으로 나눈 분할영역(넓은 사무실에 칸막이로 업무를 분활한 것을 연상해 보라)
어쨋든 "find /boot/grub/stage1" 명령어를 통해 출력된 값(리눅스가 깔린 파티션 값)을
내번째 명령어 "root" 에 삽입하면 된다.
⑤ setup (hd0) 엔타
grub(부트로더)을 설치할 hdd를 지정하는 명령이다.
(hd1) 을 입력하면 두번째 HDD에 grub을 설치한다.
(hd0,2) 를 입력하면 첫번째 하드의 두번째os가 설치된 분할영역에 설치한다.
(hd1) 을 입력하면 두번째 HDD에 grub을 설치한다.
(hd0,2) 를 입력하면 첫번째 하드의 두번째os가 설치된 분할영역에 설치한다.
⑥ quit 엔타(모든작업을 마쳤다, 컴퓨러를 다시시작 하자)
이렇게 해도 복구가 안되면 리눅을 다시깔자 -_*
**********************
명령어 몇개 안되지 만 보지 않고 하려면 기억이 안날것이다.
메모해 놔도 잘 챙기지 않으면, 찾지를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럴때 라이브시디의 위력이 발휘된다.
전에도 말했지만,
우분투 시디는 설치CD이자 동시에 라이브시디 기능을 한다..
인터넷도 된다.
인터넷을 펼친채 grub복구를 따라하면 그만이다.
메모해 놔도 잘 챙기지 않으면, 찾지를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럴때 라이브시디의 위력이 발휘된다.
전에도 말했지만,
우분투 시디는 설치CD이자 동시에 라이브시디 기능을 한다..
인터넷도 된다.
인터넷을 펼친채 grub복구를 따라하면 그만이다.

우분투에 기본포함된 리눅스계의 공짜 포토샵! "GIMP"로 초보인 내가 5분만에 편집한 그림이다.
(그림을 누르면 약간커진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USB메모리 스틱에서 우분투 6.10 엣지 + 베릴 설치 (0) | 2008.02.22 |
---|---|
USB 메모리 파티션 만들기 포맷하기 (0) | 2008.02.22 |
우분투 삼바로 윈도우와 파일 공유하기 (0) | 2008.01.09 |
우분투용 글꼴 (0) | 2007.12.10 |
간단하게 deb 패키지를 만드는 방법 - CheckInstall (0) | 2007.12.10 |